티스토리 뷰

구충제 꼭 먹어야 하나요?

활 환경이 개선되고 위생 수준이 올라간 요즘은 기생충 감염이 흔한 일은 아닙니다. 



1970년대에는 위생에 대한 의식수준이 높지 않았고 인분을 거름으로 사용하던 일이 잦았기 때문에 기생충 감염이 아주 흔한 질환이었습니다. 1970년대와 현재를 비교해보면 80%에 이르던 감염률은 5%대로 현저히 낮아진 상황인데요. 



그러나 기생충에 대해 안심할 수 만은 없습니다. 현대에도 기생충에 노출 될 수 있는 위험 요소는 여전히 존재하고 있는데요. 구충제를 왜 먹어야 하는지 그 이유와 구충제 먹는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구충제를 먹어야 하는 이유

농약과 비료가 발달하여 토양과 작물에 기생하던 기생충들이 박멸 가능해졌지만 요즘에는 유기농 작물 재배가 늘어났습니다. 유기농 채소, 과일 섭취가 늘어나면서 이것이 감염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또한 반려동물을 키우는 가정이 많아졌는데요. 특히 예전과 달리 요즘에는 반려동물을 집안에서 키우면서 사람과 한 공간내에서 생활하게 되었습니다. 반려동물이 가지고 있는 기생충이나 배설물을 통해 감염될 수 있습니다. 또한 유기동물의 분비물이 노상에 노출되어 있는 경우도 마찬가지 입니다.


유아, 어린이 등은 유치원, 학교 등에서 단체생활을 하게 되고 흙놀이, 물놀이 등을 하면서 면역력이 약한 아이들이 감염될 수 있습니다. 공동생활에서는 한 사람의 감염이 다른 사람들에게 전염될 수 있으므로 이 또한 조심해야 합니다.


위생이 취약한 지역이나 나라를 여행할때에도 감염 위험에 노출 될 수 있습니다. 깨끗하지 않은 물과 음식, 화장실 이용시 주의해야 합니다. 



구충제 먹는법

구충제는 1회 1정을 물과 함께 먹거나 제품에 따라 씹어먹을 수 있는 약도 있습니다. 유아 및 소아의 경우 구충제의 종류와 성분에 따라 먹는법과 용량을 지켜야 합니다. 


그러나 평소에 유기농채소를 먹지 않고, 반려동물을 키우지 않는 등 위험 요인이 없는 사람들까지 일률적으로 무조건 구충제를 복용해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기생충 감염 위험이 높은 환경에 노출되고 있거나 기생충 감염 증상이 나타났을때 약사, 의사와 상담 후 구충제를를 먹거나 알맞은 치료를 받으면 됩니다. 



약국에서 일반적으로 판매되는 구충제는 치료할 수 있는 기생충의 종류가 한정되어 있습니다. 약국 판매 종합구충제는 요충, 회충, 편충, 십이지장충 정도만 치료가능한데요. 



민물 어패류와 야생 육류를 날것으로 먹었을 때 감염되는 간 디스토마, 고래회충, 개 회충 등의 감염에는 약국 구충제로는 효과가 없습니다. 

플루벤다졸 구충제에는 종근당에서 나오는 젤콤 정 및 젤콤 현탁액 (소아용 시럽), 알콤 정 (일양약품), 훌벤 현탁액 (태극제약) 등이 있고 알벤다졸 구충제에는 유한양행 젠텔 정, 대웅 알벤다졸 정, 보령 알벤다졸 정, 제니텔 정 (테라젠이텍스) 등이 있습니다. 구충제 선택시에는 복용나이와 성분을 확인하고 올바른 복용법에 따라 드시기 바랍니다.

 


구충제가 가장 많이 소비되는 봄철을 앞두고 구충제를 먹어야 하는 이유와 먹는법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약물 과복용은 오히려 건강을 해칠 수 있으며 평소 일상에서 위생 관리에 신경을 쓰는 것이 좋겠습니다. 




댓글